티스토리 뷰
정보는 아이즈비전 공식홈페이지 및 KRX KIND에서 가져왔음을 밝힌다.
https://www.eyesvision.com/invest/finance
https://kind.krx.co.kr/common/disclsviewer.do?method=search&acptno=20250814002506&docno=&viewerhost=
알뜰폰 사업자 중 SKT망을 취급하려는 자는 자본금이 3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.
아이즈모바일(이하 아이즈)는 SKT, KT, LG망을 모두 취급하는 사업자이며, 자본금이 82억 2천만원으로 해당 조건을 충족함을 알 수 있다.
이는 기업 신용도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점이다.
사원수는 50명정도로, 중소독립계 알뜰통신업체중에서 많은편에 속한다.
또한, 알뜰폰 업체 중 보기 드물게 주식시장에 상장한 회사이다.(코스닥)
사업부별 매출 비중(2025년 반기, '연결'기준)
(사실 기업 분석 시 반기보고서보다는 매년 연말에 내는 사업보고서를 보는 편이 더 정확할 수 있습니다.)
아이즈비전의 주요 사업부별 매출 구성과 수익성은 크게 MVNO(알뜰폰), 정보통신기기 제조, 식품사업으로 구분됩니다. 최근 반기 기준 데이터로 각 사업의 매출·수익성 특징을 들여다 본다.
사업부 |
매출 비중 |
수익성 특징 |
MVNO(알뜰폰) | 30.83% | 맞춤형 요금제, 키즈·제휴 상품 효과, ARPU 증가 |
정보통신기기 제조 | 64.52% | WiFi6 등 신제품 효과, 단말기·중고폰 판매 급증 |
식품사업 | 4.65% | 소규모 신규사업, 성장성 낮음 |
MVNO(알뜰폰) 사업
2025년 상반기 MVNO(알뜰폰) 매출 비중은 약 30.8% 입니다.
키즈 워치, 유튜버 협업(쯔양 요금제), 제휴상품 등 신규 요금제 다변화 효과로 가입자 증가 및 ARPU 상승
맞춤형 서비스 경쟁력으로 영업이익·수익성 방어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
정보통신기기 제조 사업
전체 매출의 64.5%를 차지하는 핵심 사업부입니다.
최근에는 단말기(중고폰, WiFi6 등) 판매 급증이 수익성 개선을 견인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제조 원가 부담은 있지만 신규 모델 출시와 유통구조 개선으로 매출이 성장하였습니다.
식품사업부
매출 비중은 5% 미만으로 한정되어 성장세가 미미하며 수익성에는 큰 영향이 없는것으로 보입니다.
최근 수익성 변화 요인
- 통신 3사의 보조금 축소, 규제 대응 비용 등으로 매출원가가 증가하고, 영업이익률은 일부 하락였습니다.
- 장기 고객 증가·평균 사용 금액 상승이 수익성 방어에 효과적입니다.
- 디바이스 사업의 급성장으로 전체 외형 성장 및 수익성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.
다음은 제무제표분석입니다.
최근 5년 별도 재무제표(연결 재무제표 아님)
연도 | 매출액 | 영업이익 | 당기순이익 | 영업이익률 | 자산 | 부채 | 자본 | 유동비율 | 부채비율 |
2020 | 17,456 | 2,232 | 15,873 | 12.79% | 99,545 | 15,603 | 83,942 | 7.37% | 18.59% |
2021 | 23,393 | 2,534 | 14,775 | 10.83% | 116,861 | 15,051 | 101,810 | 66.13% | 14.78% |
2022 | 28,577 | 1,089 | -11,543 | 3.81% | 126,681 | 35,755 | 90,927 | 80.03% | 39.32% |
2023 | 37,341 | 1,472 | -3,293 | 3.94% | 124,718 | 24,582 | 100,136 | 68.22% | 24.55% |
2024 | 41,973 | 1,742 | 2,442 | 4.15% | 131,519 | 17,816 | 113,703 | 56.49% | 15.67% |
EV/EBITDA: 쉽게 말해 현재 회사 가치만큼 벌기 위해 이 회사는 몇년을 영업활동을 해야 하는가? 이다.
2024년 12월 기준 아이즈비전은 21.69년을 일해야 현재 회사 가치만큼 벌 수 있습니다. EV/EBITDA값은 낮을 수록 좋게 평가된다.
2021년 12월 | 2022년 12월 | 2023년 12월 | 2024년 12월 |
10.79 | 10.26 | 11.32 | 21.69 |
실적 변화
2020~2024년 사이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해 2024년 기준 41,973백만원으로 5년 만에 2.4배 성장했다.
영업이익은 2020~2021년 증가하였으나, 2022년부터 실적 악화로 감소한 뒤 2024년 다시 개선세에 있다.
당기순이익은 2022~2023년 적자 전환 후 2024년 흑자 복귀하며 실적 안정화가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.
재무 지표
영업이익률은 2020년 12.79%에서 2022년 3.81%로 급락 후 2024년 4.15%로 소폭 회복하였다.
자산과 자본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, 부채는 2022년에 일시적으로 늘어난 뒤 계속 감소해 재무건전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.
부채비율은 2022년 39.32%에서 2024년 15.67%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.
유동비율 역시 2022년 최고치(80.03%) 이후 2024년 56.49%로 양호한 수준이다.
최근 5년간 별도 기준으로 실적 성장과 재무 안정성이 모두 개선되고 있습니다. 다만, 2022~2023년 실적 변동이 컸으나, 2024년 흑자 전환 및 수익성 회복이 주요 포인트로 보입니다.
상장회사이다 보니 타 업체에 비해 자료가 많아서 내용을 좀 더 첨부하고 분석할 수 있었던것 같습니다.
-개인적인 고객센터 경험-
올해 초까지는 1:1 게시판을 운영했었고 답변속도도 빨랐지만, 1:1 게시판을 없애고 상담원채팅을 도입했다.
But, 상담원 채팅 메뉴로 진입하는 것이 조금 어렵다.
다만 전화를 통한 고객센터 연결시간은 다른 업체들과 평균적인 편에 속했던것 같다.
'기업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니컴즈(모빙) 기업분석 (6) | 2025.07.31 |
---|